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MDD와 고점대비 하락율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 이란? - Feat. 주식, ETF

by {독개미} - 독서하고 투자하는 개미 2024. 9. 10.
반응형

 

 

{MDD}

Maximum Drawdown의 약자로, 최대 낙폭을 의미. 투자 자산의 가치가 특정 기간 동안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 얼마나 하락했는지를 %로 나타낸 것. 통상 기간은 52주를 기준으로 계산 한다. MDD는 자산의 리스크를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되며 투자자가 겪을 수 있는 최대 손실을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예) A 주식이 52주 최고가 1000이고 52주 최저가가 700 이라면, MDD는 30%가 되고, B주식은 52주 최고가가 1000이고 52주 최저가가 500 이라면 MDD는 50%가 된다. 이때 변동성이 더 크다고 판단되는 주식은 B가 되며, 해당 주식 내 그리고 상대 주식간에 변동성 정도를 파악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고점대비 하락율}

주식의 고점 대비 하락률은 주식이 최고가에서 현재 얼마나 하락했는지를 %로 나타낸 값이다. 통상 52주 최고가와 현재가를 기준으로 잡으며 주가의 변동성을 파악하고, 리스크를 평가하는데 사용 할 수 있다.

 

예) 주식의 52주 최고가가 1000, 현재 가격이 800이라면 이 주식은 고점 대비 20% 하락한 것이 된다. 이때 이 주식의 MDD가 30%라면 투자자의 판단에따라 MDD 30%대비 현재 20%하락 한 것이니 저점이라 판단하고 투자를 시작할지, 조금더 매수 시기를 기다릴지 결정한다.

정기적으로 MDD 및 고점대비 하락율 관련 흐름을 추적하고 글을 올려 볼 예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