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MDD와 고점대비 하락율

재테크,투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24.09.20)

by {독개미} - 독서하고 투자하는 개미 2024. 9. 21.
반응형
나는 일주일에 한번 모든 장이끝나고 토요일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정리하고 시장을 확인한다.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확인 후 ETF별 투자 비율을 조절한다. 예를들면 나스닥이 MDD대비 하락율이 크고 S&P500은 MDD대비 하락율이 상대적으로 작다면 나스닥의 매수 비중을 좀 더 올리고 반대 상황이면 S&P500의 매수 비중을 좀 더 올린다.
개인적인 생각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란다.

 

[24년 09월 20일기준]

MDD는 나스닥 33%, S&P500 28%, 다우23%, 코스피21%, SCHD22%이며, 지난주(24.09.13)대비 다우와 SCHD가 고점을 갱신하면서 MDD 폭이 커진 모습이다.

 

고점대비 하락율은 S&P500, 나스닥, 다우, SCHD는 미국 시장이 전반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여 계속해서 하락폭이 낮은 상태이며 코스피는 여전히 고점대비 하락폭이 두자릿수를 나타낸다. (코스피는 언제 회복을...??)

 

그리고 미국이 50bp 금리인하를 실시하였다.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고금리 정책을 펼치다 소비자 물가가 잡혀간다고 판단해서인지 연준에서 첫번째 금리인하를 단행하였는데 과거 사례를 보면 대체로 고금리 정책을 펼치다 금리인하를 단행하면 시장은 경기침체로 받아들여 오히려 주식시장은 좋지않았다 하였다. 침체우려로 주식시장이 안 좋을수도 있지만 어차피 시장 예측은 할 수 없는 영역이고 경기는 싸이클을 가지니 이번에도 역시 좋지 않다면 다시 좋아질 것이니 꾸준히 좋은 주식에 미래를 낙관하며 투자 할 것이다.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에 대한 설명은 아래링크 눌러주세요^^

2024.09.10 - [경제공부] -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 이란? - Feat. 주식, ETF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 이란? - Feat. 주식, ETF

{MDD}Maximum Drawdown의 약자로, 최대 낙폭을 의미. 투자 자산의 가치가 특정 기간 동안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 얼마나 하락했는지를 %로 나타낸 것. 통상 기간은 52주를 기준으로 계산 한다. MDD는 자

financialfreedom79.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