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MDD와 고점대비 하락율

재테크,투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24.10.04)

by {독개미} - 독서하고 투자하는 개미 2024. 10. 6.
반응형
나는 일주일에 한번 모든 장이끝나고 토요일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정리하고 시장을 확인한다.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확인 후 ETF별 투자 비율을 조절한다. 예를들면 나스닥이 MDD대비 하락율이 크고 S&P500은 MDD대비 하락율이 상대적으로 작다면 나스닥의 매수 비중을 좀 더 올리고 반대 상황이면 S&P500의 매수 비중을 좀 더 올린다.
개인적인 생각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란다. (오늘은 여행을 다녀오느라 일요일에 업데이트 합니다...)

 

 

[24년 09월 20일기준]

MDD는 나스닥 33%, S&P500 29%, 다우24%, SCHD22%, 코스피21% 순이며, 지난주(24.09.27)와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마감 됐다. 이번주는 미국 시장 지수들은 모두 소폭 상승마감하였고, 특히 다우는 이번주 역시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52주 최고가 갱신을 기록하였다. 한국의 코스피 지수는 미국의 시장 지수들과는 다르게 소폭하락으로 마감하며 계속해서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대체 한국장은 언제;;...)

 

이번주도 역시 고점대비 하락율은 S&P500, 나스닥, 다우, SCHD는 미국 시장이 전반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여 계속해서 하락폭이 낮은 상태이며 코스피는 여전히 고점대비 하락폭이 미국에 비해 높게 나타나며 지난주 대비해서도 하락폭이 커지는 상황이다.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에 대한 설명은 아래링크 눌러주세요^^

2024.09.10 - [경제공부] -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 이란? - Feat. 주식, ETF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 이란? - Feat. 주식, ETF

{MDD}Maximum Drawdown의 약자로, 최대 낙폭을 의미. 투자 자산의 가치가 특정 기간 동안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 얼마나 하락했는지를 %로 나타낸 것. 통상 기간은 52주를 기준으로 계산 한다. MDD는 자

financialfreedom79.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