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자산가로 가는길 - 투자참고

재테크,투자) 내가 파이어족이 되려하는 이유 - feat. 노후준비

by {독개미} - 독서하고 투자하는 개미 2024. 10. 16.
반응형

 
내가 파이어 족이 되고자 하는 이유는 작년 육아휴직을 쓰면서 시간을 자유롭게 내가 선택해 사용하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 깨달았다.
 
현재는 인적노동력으로 생활에 필요한 돈을 마련하고 있지만 마련한 돈을 다 사용하지않고 저축과 투자를 통하여 자산을 불려서, 인적노동으로 바꾸며 사용하였던 시간을 시간의 구속에서 벗어나 나와 내가족의 행복을 위한 시간을 더욱 많이 사용하고 싶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는데 의,식,주 등에 사용해야 하는 꼭 필요한 돈을 내 인적자본(노동력)과 회사에서 소비하는 나의 시간을 바꾸어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은 나이가 들고, 나이가 들어갈수록 신체가 노쇠화 된다.
 
대체로 직장에서의 은퇴 기준은  만60세로 정해져 있지만(60세 이전에 직장을 잃는 경우도 많다.), 노후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면 만60세가 지나서도 다른 일거리를 찾아 생활에 필요한 돈을 마련하여야 한다(노인빈곤율 1위의 나라 대한민국...).
 
은퇴 전 인적자본으로 바꾼 돈을  노후준비를 위하여 활용하지 않고 다 사용해버린다면 평생 시간의 구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돈을 위하여 나의 노동력을 계속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은퇴 기준나이를 넘어서 노쇠화 된 신체로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경우에는 인적자본을 사용하여 벌어들이는 소득은 감소할 수 밖에 없다.
 
소비수준은 은퇴 이전인 비교적 높은 소득을 얻던 때에 맞춰져 있는데, 신체 노화로 인한 소득이 감소해 버리면 소득이 소비력을 따라가지 못하여 안정적 노후 생활에 문제를 일으키게 되며 돈을 위해 살게된다. (늘어나버린 소비를 줄이는 것은 정말 힘들다.) 돈이 나를 위해 일해야지 내가 돈을 위해 일하면 안된다.
 
그러므로 은퇴 이전인 비교적 높은 소득을 얻을수 있을때, 그리고 한살이라도 어릴 때(시간의 복리) 노후준비를 착실히 준비해서 인적자본을 사용하지 않아도 돈이 돈을벌어오는 현금파이프 라인을 구축해놓아야 한다.
 
현금 파이프라인을 구축해야 하는 이유로는 인간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노화로 인해 돈을 벌어들이는 가치가 감소하지만, 돈은 나이로 인한 가치가 감소 하지 않는다.
 
신체노화로 인해 줄어든 소득은 하루 24시간중 더 많은 시간을 노동에 사용하며 만회해야 하지만 하루는 24시간으로 고정 되어있고 인간의 노동력은 24시간 모두를 돈을 버는데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돈은 24시간을 오롯이  돈(배당,이자,월세소득등)을 벌어오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노후를 빠르게 준비(저축&투자)할수록 복리라는 마법을 만나게 되어 자산은 폭발적으로 성장한다.

 
구축해 놓은 현금 파이프라인이 월 지출액을 넘어설 때는 경제적 자유, 시간적 자유를 통한 돈 걱정 없는 행복한 삶을 살면된다. 경제적 자유를 얻었다 해서 무조건 소득활동을 그만두고 쉬라는 뜻이 아니다. 내가 좋아하는 일이 있다면 내가 선택한 시간을 통하여 추가 소득을 얻을수도 있고, 내가 좋아하는 일이니 일을 통한 행복감도 얻을 수 있다. (행복을 위하여 내가 주체적으로 선택하는 삶)
 
나는 가족과 더 큰 행복을 위하여 경제적 자유, 시간적 자유를 얻고 싶다. 그리하여 과연 나의 삶에서 행복감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 생각 해서 적어보았는데 큰 돈이 드는 것은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았다.
 
나는 무엇을 하였을때 행복한가?
1. 가족과 산책하며 즐거운 대화
2. 가족과 북카페 가서 커피마시면서 독서
3. 내가 가지고 싶은 차량소유 (이건 돈이 좀 들어간다 ㅋㅋ)
4. 와이프랑 배우고 싶은 운동 찾아서 운동하기
5. 가족과 시간의 여유를 가지고 느긋하게 여행
6. 와이프 소원인 식사 안차리고 밖에서 외식 횟수 늘리기
7. 와이프랑 심신 모두 건강한 노후생활하기
8. 가고싶을때 고향 방문
9. 건강한 음주생활
10. 가족과 자전거 여행
 
각자 행복의 기준은 다르므로 자신의 기준에 맞게 소비수준을 정하고 소비수준을 넘어서는 현금 파이프라인을 만들면 가진것에 감사하고 적당히 만족하며 그 안에서 마음껏 행복을 누리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