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나라의 경제가 장기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 많은 자본투자, 효율적인 자본과 노동력을 사용(생산성)해야한다.
여기서 인구(노동력)에 대해 말해보려한다. 인구 구성의 질이 좋을수록 생산능력의 증가가 일어난다고 보는 경우가 많다. 나는 인도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첨부해 놓은 위의 인도의 인구구성을 보면 가장 이상적인 인구구성이라 보는 종모양의 형태를 띠고있기 때문이다. 경제성장은 인구에서 온다는 말이 있다. 인구가 많을수록 좋지만 정확하게 말해서는 일할수 있는 인구가 많을수록 좋다(대략 20~60세). 20세이하는 노동 시장에 뛰어들 준비를 하는 나이이며, 60세이상의 고령자는 노동력을 상실하는 나이이다. 특히 고령자가 많을수록 좋다고 보기 어렵다.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상실과 노인복지에 드는 돈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현재 인도는 일할 수있는 질좋은 인구가 많으며 고령자는 적어 경제 성장이 가파르게 일어나고 있다. 거기에 인구 증가는 2060년경 까지 예상되고 있어 질 좋은 노동력으로 인한 장기적 성장이 기대된다.
반대로 일본, 한국 두 나라는 점점 고령화는 심해지고 인구 감소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래프를 보면 일본은 2010년, 한국은 2020년을 기점으로 인구감소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점점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일할 수 있는인구가 줄어드니 생산능력은 감소 할 것이고 장기적 경제성장기대 또한 우려될 수 밖에 없다.
또 그래프를 보면 최근까지 질좋은 인구와 값싼 노동력을 바탕으로 큰 폭으로 경제 성장이 일어났던 중국도 2030년을 기점으로 인구감소가 예상되며 고령화 또한 진행되어 일본 한국을 따를것으로 보인다.
일본,한국,중국의 인구 구성이나 인구감소 시점 대비 인도의 인구 구성과 2060년까지 인구증가 예상을 보면 세나라 대비 인도의 장기적 경제성장에 기대가 되는 바이다.
인구피라미드 출처: Population pyramid
'경제공부 > 자산가로 가는길 - 투자참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투자) 심리학으로 보는 성공요건 - 충동 조절 (5) | 2024.10.03 |
---|---|
(재테크,투자) 시장 평균 수익률 - 시장은 매년 시장 평균수익률을 따르는가? (6) | 2024.10.02 |
재테크,투자) 장단기 금리차로 알아보는 경기 싸이클 (15) | 2024.09.23 |
수익률 순서위험 - 마이너스 수익률이 난다면 투자 초기와 말기 중 언제 나는것이 더 이득일까? (0) | 2024.09.13 |
미국(ETF)에 장기투자 투자를 하는 이유 (6) | 2024.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