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시장이 매해 평균 수익률을 올릴거라 생각하면 안된다.
주식시장에는 강세장도 있고 약세장도 있으며, 그 강세장에도 기간(일,월,연)을 따졌을때 하락이 있을 수 있다.
약세장도 마찬가지로 기간(일,월,연)을 따졌을때 상승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나고 나면 강세장이 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 당시에는 상승과 하락을 오고가는 주식시장의 변동성 때문에 강세장인지 약세장인지 파악이 어렵고, 투자자는 일시적인 하락에 지레 겁을먹고 자신이 가진 주식을 팔고 시장을 떠나버린다.
일시적인 변동성에 시장을 떠나버린 투자자는 시간이 지나고나서야 강세장이었던 것을 확인하고 자신이 시장을 떠나버려 놓치게된 수익에 대해 후회를한다.
주식시장은 큰 변동성을 가지며 실제로 평균 수준의 수익률을 가지는 해는 드물다. 평균수준의 수익률이라는 것도 기간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우리는 시장이 언제 하락할지 언제 상승할지 타이밍을 예상하기 어렵다.
하지만 주식시장은 긴 기간동안 평균적으로는 하락보다 상승을 더 많이 해왔으며 수십년동안의 평균 수익률은 +였기에 미래를 낙관하며 투자하고 현재의 변동성은 무시한채 장기적관점으로 꾸준히 투자해야 한다.
반응형
'경제공부 > 자산가로 가는길 - 투자참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투자) 무항산무항심 - 물질이 없으면 바른 마음을 가질 수 없다 / feat. 흔들리는 나를위한 1일 1철학 (5) | 2024.10.04 |
---|---|
(재테크, 투자) 심리학으로 보는 성공요건 - 충동 조절 (5) | 2024.10.03 |
(재테크, 투자) 인구 피라미드로 보는 인도의 발전 가능성은? (Feat. 인도Nifty50) (5) | 2024.09.30 |
재테크,투자) 장단기 금리차로 알아보는 경기 싸이클 (15) | 2024.09.23 |
수익률 순서위험 - 마이너스 수익률이 난다면 투자 초기와 말기 중 언제 나는것이 더 이득일까? (0) | 2024.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