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들의 저조한 투자성과와 시장수익률을 이기지 못하는 이유로는 투자자들은 주가를 예측하여 주가가 낮을때 사서 주가가 높을때 팔아 투자 수익을 얻으려 한다. 하지만 주가 예측은 어려운걸 넘어 불가능하다 생각된다.
워렌버핏, 켄피셔, 피터린치등의 투자계 거물들 조차도 주가예측은 할 필요도 없으며, 맞출 수도 없다 하였다. 주식 시장은 변동성을 가지기에 강세장이 있으면 약세장이있고 약세장이 왔다면 다시 강세장이 온다.
투자자들은 강세장이 왔을때 투자하고 약세장이 왔을 때 떠나려 하지만 수년간의 장기 강세장 안에서도 연간 수익률이 소폭상승인 경우도 있고 소폭하락인 경우도 있다. 그 시기에 투자자가 잘못된 예측을 하여 주식시장을 떠나버린 경우 잠시 쉬어가는 기간을 가진 시장이 다시 폭등해버리면 떠나버린 기간만큼의 투자수익률을 모두 놓치게 되는 것이다.
또 반대로 약세장이 왔다고 예측하고 떠나버린다면 약세장이 끝난 그 후의 강한 V자 반등기간동안의 수익률 또한 놓치게 된다. 켄피셔는 약세장이 끝나고 강세장 초기에 반등하는 상승폭이 가장 강한 경우가 많다 하였다.
투자자들은 강세장이나 약세장이 찾아오면 영원히 상승하거나 영원히 하락할것 같은 심리상태를 겪지만 항상 시장은 싸이클을 가진다. 앞으로 수년간 또 주식시장이 강할수도 약할수도있고 횡보할 수도 있다 .
하지만 나는 과거 데이터를 보면 주가의 하락보다 주가의 상승비율이 더 높았기에 시장이 장기성장 할수 있었다 생각하므로 예측하지말고 시장에 머물러 시장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며 다른 위험들은 제거하고 시장환경에 따른 위험만 가진채 낙관적인 마인드로 투자하려 한다. 시장에 머무르며 꾸준히 투자한다면 시장평균을 따라 갈 것이며, 강한 상승장이 온 경우 좋은 투자 수익결과를 얻을 것이다.
'경제공부 > 자산가로 가는길 - 투자참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표 자산을 달성하기 위한 나와 돈의 노동력과 비율변화 - Feat. 돈의 힘 (0) | 2025.01.08 |
---|---|
투자,재테크) 복리의 마법 - feat. 복리와 단리의 차이 (2) | 2025.01.01 |
재테크,투자) 손실회피효과가 투자에 미치는 영향 (3) | 2024.12.18 |
재테크,투자) 투자에서 확증편향이 위험한 이유 (3) | 2024.12.04 |
(재테크, 투자) 자신에게 먼저 원인을 찾아라 (2)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