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자산가로 가는길 - 투자참고

목표 자산을 달성하기 위한 나와 돈의 노동력과 비율변화 - Feat. 돈의 힘

by {독개미} - 독서하고 투자하는 개미 2025. 1. 8.
반응형

성공한 자산가들은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이들에게 항상 종자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종자돈 마련부터 시작하라 얘기한다. 그 이유로는 돈을 모으기로 마음먹은 첫 해는 오롯이 자신의 노동력으로만 돈을 마련하여 목표한 금액을 모아야 하지만 그 다음해 부터는 돈도 나와 함께 일하기(이자,배당,월세등) 시작한다.

자신이 생각하는 경제적 자유의 목표 금액은 10년에 10억이 될 수도 있고 20년에 30억이 될수도 있다. 일단 목표로 하는 금액과 달성기간을 정하고 빠르게 시작부터 하자. 그러면 돈도 나를 위하여 함께 일하며 소득(이자,배당,월세등)을 벌어오기 시작한다.

단순 가정을 통하여 목표한 금액을 달성하기 위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나와 돈의 노동력 비율과 돈의 힘을 느껴보자.

예를들어 10년에 1억2천을 모으기로 목표하였고, 1년에 1200만원 월에 100만원이라는 금액을 모으겠다는 세부 금액도 정하였다. 그리고 저축이나 투자하는 금액의 증감 없이 고정적 금액으로 모으기로 계획하였다 가정하고, 돈이 돈을 벌어오는 구조가 한해 한해가 지날수록 연 1200만원을  모으는데 차지하는 비율이 어떻게 변하는지 보고 돈의 힘을 느껴보도록 하자. (이자는 쉬운 계산을 위하여 단순 연5%라고 가정.)


위의 표에서 처럼 첫해에는 나 혼자서 종자돈을 마련해야 하기에 연 1200만원을 오롯이 나의 노동력만을 사용하여 만들어내야 한다. 하지만  둘째 해부터는 돈은 나와 함께 그리고 나를 위해 일하기 시작한다.  해가 지날수록  연 1200만원을 모으기 위한 나의 노동력 비율은 점점 줄어들고 돈이 돈을 벌어오는 돈의 노동력 비율은 점점 늘어난다.

이처럼 돈이 쌓이며 자산이 늘어날 수록 돈의 힘은 막강해진다. 이렇게 단순계산으로 가정하여도 마지막 해에는 나의 노동력 660만원, 돈의 노동력 540만원으로 연 1200만원을 달성할 수 있고, 나와 돈의 노동력 비율은 55%, 45%로 10%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목표 금액 달성 다음해에도 계속 이어간다면 그때는 나와 돈의 노동력의 비율은 50%로 같아진다! 기간을 더 길게 잡고 계산한다면 돈이 돈을벌어오는 노동력이 나의 노동력을 역전하는 상황이 일어날 것이다.

이제는 가정을 다르게 하여 목표한 금액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기간이 단순 노동력만으로 목표금액을 달성하는 기간과 복리를 이용하여 목표한 금액을 달성하는 기간의 차를 알아보자.

목표 금액은 위의 가정과 동일하게 1억2천으로 정하였다. 단순 노동력만으로 1억2천만원을 달성하기위하여는 1년에 1200만원을 모은다 가정하면 정확하게 10년이 걸린다. 이제 복리를 활용해 보자. (연 이자는 동일하게 5%라고 가정)

 

위의 표를 보면 알수 있듯이 복리를 활용하면 노동력만으로 목표금액을 달성한 10년에 비해 약 2년이라는 기간이 단축된다. 이것이 바로 복리의 힘이다.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면 돈의 도움을 받아라! 돈과 함께 일하기 위하여 하루라도 빨리 종자돈을 마련하라. 돈을 현명하게 활용한다면 엄청난 보상을 받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