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복리는 인간의 가장 위대한 발명이자, 세계 8대 불가사의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복리와 단리의 개념>
*복리: 복리는 원금뿐만 아니라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다. 그리고 시간을거치며 그 이자의 이자에도 이자가 연속적으로 붙는다. 즉, 원금과 함께 계속해서 발생하는 이자를 포함한 금액에 다시 이자가 붙는 마법같은 계산 방식이다.
*단리: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지급한다. 즉, 원금에만 이자가 발생하고, 이 이자에 대해서는 다시 이자가 발생되지 않는다.
복리와 단리의 차이를 말해 보자면, 복리는 원금과 이자에 모두 이자가 발생하기에 이자가 점점 증가하는 반면, 단리는 원금에만 이자가 발생하기에 이자가 고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짧은 기간을 비교한다면 복리와 단리의 이자 차이가 크지 않지만, 기간이 길어질수록 시간의 마법에 의해 복리와 단리는 어마어마한 차이를 보인다. 부를 이루기 위해선 무조건 복리의 마법을 이용해야 한다.
<예시>
투자원금이 1억원이고 금리가 5%라고 가정하고 기간을 10년으로 잡아서 복리와 단리의 차를 살펴 보도록 하겠다.
<기간별 복리와 단리의 수익차이>
그래프를 그려보면 기간이 길어질수록 복리와 단리의 거리는 멀어지며, 금액차는 커진다. 이것이 바로 복리의 마법이다.
기간을 1년으로 잡으면 복리와 단리의 차이는 없고, 2년으로 잡으면 25만원이라는 비교적 작은 금액의 차가 나지만 10년이라는 기간으로 잡으면 자그마치 12889463이라는 천만원이 훌쩍넘는 큰 차이를 보인다.
기간을 20년, 30년으로 더 길게 잡는다면 복리와 단리의 차이는 어마어마하게 벌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자산에 시간을 녹이며 복리의 마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부자가 되는 길은 복잡하지 않다. 단지 시간과 인내가 필요할 뿐이다.
반응형
'경제공부 > 자산가로 가는길 - 투자참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표 자산을 달성하기 위한 나와 돈의 노동력과 비율변화 - Feat. 돈의 힘 (1) | 2025.01.08 |
---|---|
재테크,투자) 투자자들의 저조한 투자성과와 시장수익을 이기지 못하는 이유 (4) | 2024.12.25 |
재테크,투자) 손실회피효과가 투자에 미치는 영향 (5) | 2024.12.18 |
재테크,투자) 투자에서 확증편향이 위험한 이유 (3) | 2024.12.04 |
(재테크, 투자) 자신에게 먼저 원인을 찾아라 (3)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