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일주일에 한번 모든 장이끝나고 토요일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정리하고 시장을 확인한다.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확인 후 ETF별 투자 비율을 조절한다. 예를들면 나스닥이 MDD대비 하락율이 크고 S&P500은 MDD대비 하락율이 상대적으로 작다면 나스닥의 매수 비중을 좀 더 올리고 반대 상황이면 S&P500의 매수 비중을 좀 더 올린다.
개인적인 생각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란다.
[24년 10월 25일기준]
MDD는 삼성전자 37%, 나스닥 33%, S&P500 30%, 다우25%, SCHD23%, 코스피21%이며, 지난주(24.10.18)는 S&P500, 다우, SCHD가 52주 최고가를 갱신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는데 이번주에는 나스닥과 다우가 52주 최고가를 갱신했다. 특히 다우는 이전에 S&P500과 나스닥 지수가 계속해서 상승하며 좋은 모습을 보일때 한동안 횡보하며 S&P500과 나스닥 대비 지루한 모습을 보였는데 그 서러움을 날려버리듯 최근 수주동안 계속해서 고점을 갱신 해 나가고 있다. 미국 시장지수는 계속해서 전체적으로 좋은모습을 보이는 중이다.
미국의 S&P500, 나스닥, 다우, SCHD는 52주 최고가를 갱신하며 MDD가 상승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코스피는 수 개월동안 박스권에 갇힌채 21%로 MDD가 고정되어 있고 특히 삼성전자는 미국과는 반대로 계속된 하락으로 52주 최저가를 갱신하며 MDD를 키워가고 있는 모습이다.
고점대비 하락율은 S&P500 1%, 나스닥 1%, 다우 3%, SCHD 3%, 코스피 11%, 삼성전자 37%로 미국 시장은 계속해서 주식시장이 상승 하여 하락폭이 낮은 상태이며, 코스피는 11% 하락율을 보이고 삼성전자는 이번주 역시 하락폭을 키워갔기에 고점대비 하락율 역시 33% → 37%로 커지며 52주 최저가에 거의 붙은 모습이다.
다음주는 삼성전자의 주가가 회복해서 삼성전자 주주들의 걱정이 사라지기를!
https://financialfreedom79.tistory.com/64
재테크,투자) 삼성전자 주가상태와 코스피 -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나는 일주일에 한번 모든 장이끝나고 토요일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정리하고 시장을 확인한다.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확인 후 ETF별 투자 비율을 조절한다. 예를들면 나스닥이 MDD대비 하
financialfreedom79.tistory.com
2024.09.10 - [경제공부] -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 이란? - Feat. 주식, ETF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 이란? - Feat. 주식, ETF
{MDD}Maximum Drawdown의 약자로, 최대 낙폭을 의미. 투자 자산의 가치가 특정 기간 동안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 얼마나 하락했는지를 %로 나타낸 것. 통상 기간은 52주를 기준으로 계산 한다. MDD는 자
financialfreedom79.tistory.com
'경제공부 >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투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 24.11.08 (6) | 2024.11.09 |
---|---|
재테크,투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 24.11.01 (7) | 2024.11.02 |
재테크,투자) 삼성전자 주가상태와 코스피 -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26) | 2024.10.19 |
재테크,투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24.10.11) (23) | 2024.10.12 |
재테크,투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24.10.04) (13) | 2024.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