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일주일에 한번 모든 장이끝나고 토요일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정리하고 시장을 확인한다.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확인 후 ETF별 투자 비율을 조절한다. 예를들면 나스닥이 MDD대비 하락율이 크고 S&P500은 MDD대비 하락율이 상대적으로 작다면 나스닥의 매수 비중을 좀 더 올리고 반대 상황이면 S&P500의 매수 비중을 좀 더 올린다.
개인적인 생각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란다.




[24년 10월 18일기준]
먼저 요즘 하락을 이어가는 삼성전자에대해 말해보자.
코로나 시기에 낮은 금리와 엄청난 유동성 공급을 통하여 하락하던 주가는 반등을 거쳐 엄청난 폭등을 이어갔고, 미국은 서학개미운동, 한국은 동학개미운동이라는 말이 생길정도로 쉬워진 자본조달을 통하여 개인 투자자들이 많이 투자하였다.
코스피의 대표주식 시총1위의 삼성전자 역시 10만전자 가즈아~!를 외치며 투자 하신분들이 정말 많으실텐데 최근 삼성전자의 주가 하락이 커서 투자자 분들의 근심이 많으실 것같다.
나는 대부분을 지수형 ETF에 투자하고 개별주에는 투자를 잘 하진 않지만 코스피 시총의 많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삼성전자이고 한국을 대표하는 회사, 세계적인 회사이기에 주가는 자주 확인하는 편이다.
10월 18일을 기준으로 삼성전자도 MDD, 고점대비 하락율을 기록 해보기로 하였다.
일단 10월18일 기준 코스피의 MDD는 21%, 고점대비 하락율은 10%로 저번주와 크게 다르지 않다.
최근 52주 최저가를 갱신하며 하락을 이어간 삼성전자는 MDD 34%, 고점대비 하락율은 33%로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있는 코스피 대비해서도 최대낙폭의 변동성도 크고, 고점대비 하락율은 52주 최저점에 거의 도달해 있다.

위의 주가 그래프처럼 삼성전자는 지속해서 하락하는 중으로 다시 52주 최저점을 갱신하며 내려가지 않는다면, 현재 주가는 저점이라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주가예측... 특히 단기간 주가예측은 불가한 영역이라 생각한다.52주 최저점은 더이상 깨지지 않는다는 확신은 하지 말자. 현재의 상황만 본다면 나도 삼성의 기업가치대비 더 많은 하락을 했다는 생각이긴 하다.
일단 크게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제조업 중심이고 수출중심의 나라이다. 반도체, 휴대폰, 가전등의 사업을 하는 삼성전자역시 수출중심의 기업이다. 즉, 수출이 잘되면 코스피와 삼성전자에 좋다는 것이다.
코스피지수와 수출금액지수의 상관성을 살펴보면 100% 같이 움직이진 않지만 비슷하게 움직인다. 수출이 잘되면 코스피지수 역시 좋아질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수출금액지수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을 살펴보면 23년 기준으로 지수값 자체도 하락중이고 증감률 또한 감소를 보이고 있어 좋지 못한상황이다.
수출금액 지수와 증감률이 상승으로 돌아서기 시작하면 코스피는 지루한 박스권을 벗어나고, 삼성전자는 하락에서 반등을 시작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또, PER을 비교해 보자면 제조업종의 PER는 대체로 10정도를 기준으로 잡는다. 낮아진다면 저평가 되었고 많이 상승한다면 고평가 되었다 말한다.
제조업 중심의 우리나라지만 코스피에는 다른 업종도 다수 포함이 되어 있기에 10~15정도를 기준으로 보아도 될듯하다.
24년 9월기준 우리나라 코스피의 PER는 14.58로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를 보인다.
구글에서 삼성전자의 PER은 14.47로 표기 되어 있는데 코스피와 비슷한 수치를 보이는 것 같다.
아래의 그래프를 보면 코스피의 PER가 점차 낮아지고 있는데 경기는 좋았다 나빠지고, 나빠지면 좋아지기에 저평가 되었다고 판단되며 경기가 회복을 한다면 코스피든 삼전이든 다시 상승할 것이라 생각된다.

한가지 걱정거리는 반도체 경쟁사인 하이닉스에 주도권이 넘어간 상황이라는 것이다.엔디비아 차세대 AI칩 선점수혜를 통해 하이닉스의 기대감은 높아져가고 있고 주가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는데, 삼성전자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람들이 걱정하듯 어떤 회사든 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윤동기를 가지고 있는 인간들은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이 있다하였다.
특히 한국을 대표하고 세계적인 회사 삼성전자에는 우수한 인재, 엄청난 자본력, 기술력이 받쳐주고 있기에 현재의 상황을 반면교사로 삼아 틀림없이 개선하고 극복할 것이라 생각한다.
현재 삼전의 기술 유출, 인재 유출, 반도체 기술력 문제, 노동조합 파업, 인도 현지 종사자들의 고임금 및 고용승계 요구등 악재가 뉴스등으로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뉴스는 사람의 주목을 끌어내며 먹고사는 곳이고 인간은 인간 심리중 하나인 손실회피 효과로 인해 상승기사보다 하락기사에 더 집중하고 걱정하게 된다.
뉴스만 본다면 삼성은 곧 망할 기업처럼 보인다. 그리고 그런 자극적인 기사에 투자자들은 불안에 떨고 추가손실을 걱정해 확정 손실을 안고 떠나게 된다.
몇년간의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을 확인해보면 24년 영업이익이 엄청난 실적을 냈던 21년, 22년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였지만 최근에 가장 실적이 좋지못한 23년 대비해서는 많이 회복하며 나쁘지만은 않은 실적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한분기당 10조가량씩을 벌어들이는 이런 회사를 곧 망할것 같은 회사로 만들다니... 할말하않이다... 주가하락에 맞춰 온갖 악재를 가져다 나르는 시끄러운 뉴스에 주목하기보다 수치화된 데이터로 객관적으로 바라보자.
현재 하락하는 삼성전자의 주가를 보고 많은 투자자들이 근심과 걱정에 빠져있다.
하지만 주식격언 중에는 주가는 근심의 벽을타고 오른다 하였고, 동트기 전이 가장 어둡다는 말이 있듯이 현재의 근심 걱정이 무안해질 정도로 멋지게 악재를 해소하며 상승할 날이 올 것이라 믿는다.
삼성전자 투자를 하며 손실을 보고 계신분들이나 투자계획을 가지고 계신분들은 객관적으로 삼성전자를 바라보고 현명한 대응을 하시길 바란다.
단, 빚을 내서 하는투자는 절대... 절대적으로 피하시길...
단기간의 주가는 계속해서 출렁이며 어지럽게 하겠지만, 장기간의 주가를 바라보자! 현재 삼전 주가가 하락추세에 있다해도... 물론 장기 투자한 사람들을 찾기 힘들겠지만 그 장기 투자자들은 아직도 많은 수익을 내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전자 투자자들 현명한 투자하셔서 좋은 성과 있길 바라겠습니다!!!!!
오늘은 삼성전자와 코스피에대한 글이 길었다.
{이제 전체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넘어가보자.}
MDD는 삼성전자 34%, 나스닥 33%, S&P500 30%, 다우25%, SCHD23%, 코스피21%이며, 지난주(24.10.11)에 이어 S&P500, 다우, SCHD 가 52주 최고점을 또 한번 갱신하였다. 요즘 미국시장이 정말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고점대비 하락율은 S&P500 0%, 나스닥 1%, 다우 0%, SCHD 0%, 코스피 10%, 삼성전자 33%로 미국 시장은 계속해서 주식시장이 상승 하여 하락폭이 낮은 상태이며, 코스피와 삼성전자는 여전히 고점대비 하락폭이 두자릿수를 나타낸다.
지난주에 적었던글을 다시 한번 보고 기억해보자.
미국 시장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인간 심리 중 하나인 주가의 고소공포증도 생기는 마음이다.
미국 시장이 언제까지 좋을지?
주가가 어디까지 올라갈지?
현재의 주가가 너무 높은건 아닌지?
이러한 주가의 고소공포증으로 인한 인간 심리 때문에,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 좋은 모습을 보이며 지속적 상승을하여도, 주가가 너무 높아서 언제 떨어질지 모른다는 공포심에 주식을 매도하는 경우가 생긴다.
하지만 이러한 인간심리 때문에 미래의 더 큰 기대수익을 잃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투자하고 있는 기업자체에 문제가 생긴다면 손절매가 필요하기도 하지만, 주가의 상승으로 인한 고소공포증으로 지레 겁먹고 시장을 떠나버리는 실수는 하지 않아야 한다.
나는 현재 내가 투자하고 있는 종목을 안전한 종목이라 생각하고 있으며, 또 여러 형태로 분산 투자(지수 별,나라 별, 자산별)를 하며 안전성을 높였다 생각하기에 꾸준히 투자 해볼 생각이다.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에 대한 설명은 아래링크 눌러주세요^^
2024.09.10 - [경제공부] -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 이란? - Feat. 주식, ETF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 이란? - Feat. 주식, ETF
{MDD}Maximum Drawdown의 약자로, 최대 낙폭을 의미. 투자 자산의 가치가 특정 기간 동안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 얼마나 하락했는지를 %로 나타낸 것. 통상 기간은 52주를 기준으로 계산 한다. MDD는 자
financialfreedom79.tistory.com
'경제공부 >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투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 24.11.01 (7) | 2024.11.02 |
---|---|
재테크,투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 24.10.25 (12) | 2024.10.26 |
재테크,투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24.10.11) (23) | 2024.10.12 |
재테크,투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24.10.04) (13) | 2024.10.06 |
재테크,투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24.09.27) (14) | 2024.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