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공부38 (재테크, 투자) 인구 피라미드로 보는 인도의 발전 가능성은? (Feat. 인도Nifty50) 한 나라의 경제가 장기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 많은 자본투자, 효율적인 자본과 노동력을 사용(생산성)해야한다.여기서 인구(노동력)에 대해 말해보려한다. 인구 구성의 질이 좋을수록 생산능력의 증가가 일어난다고 보는 경우가 많다. 나는 인도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첨부해 놓은 위의 인도의 인구구성을 보면 가장 이상적인 인구구성이라 보는 종모양의 형태를 띠고있기 때문이다. 경제성장은 인구에서 온다는 말이 있다. 인구가 많을수록 좋지만 정확하게 말해서는 일할수 있는 인구가 많을수록 좋다(대략 20~60세). 20세이하는 노동 시장에 뛰어들 준비를 하는 나이이며, 60세이상의 고령자는 노동력을 상실하는 나이이다. 특히 고령자가 많을수록 좋다고 보기 어렵다. 고령화로 인한.. 2024. 9. 30. 재테크,투자) SCHD, SPY 3분기 배당금 발표와 배당성장 상황 SCHD와 SPY의 배당금이 발표 되었다. SCHD와 SPY의 배당은 분기 배당이고, 이번이 세번째인 3분기 배당이다. SCHD의 3분기 배당금은 0.7545$이며 2023년 3분기 배당 0.6545$대비 약15% 배당이 상승했다. 2023년에는 배당 성장이 2022년 대비 약3.78% 밖에 오르지 않아 배당성장을 기대하며 SCHD에 투자했던 많은 투자자들이 우려섞인 반응을 보였고, 실제로 SCHD를 떠난 사람들도 꽤 있었다. 하지만 올해는 좋은 모습을 보이며 전년대비 배당성장이 세개 분기를 모두 합쳐 비교해도 14.25%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직 4분기 배당이 발표되어야 정확히 알겠지만 4분기 배당액도 전년대비 증가할거라 예상되지만, 보수적으로 접근해 전년 4분기 배당액과 동일한0.7423$를 받.. 2024. 9. 29. 재테크,투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24.09.27) 나는 일주일에 한번 모든 장이끝나고 토요일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정리하고 시장을 확인한다.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확인 후 ETF별 투자 비율을 조절한다. 예를들면 나스닥이 MDD대비 하락율이 크고 S&P500은 MDD대비 하락율이 상대적으로 작다면 나스닥의 매수 비중을 좀 더 올리고 반대 상황이면 S&P500의 매수 비중을 좀 더 올린다.개인적인 생각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란다. [24년 09월 20일기준]MDD는 나스닥 33%, S&P500 29%, 다우24%, SCHD22%, 코스피21% 순이며, 지난주(24.09.20)에는 다우와 SCHD가 고점을 갱신하였고 이번주는 S&P500이 (5767.37) 52주 고점을 갱신하였다. 미국 시장은 고점을 갱신해나가며 계속해서 성장하는 중인데 한국 .. 2024. 9. 28. 재테크,투자) 장단기 금리차로 알아보는 경기 싸이클 장단기 금리차는 장기채권과 단기채권의 금리 차이를 말합니다. 대체로 미 국채 10년물을 장기채권(시장 금리의 영향을 받음), 미 국채 2년물(연준이 정하는 정책금리 영향)을 단기채권으로 하여 그 차이를 계산 합니다.장단기 금리차 = 미 국채 10년물 금리(장기) - 미 국채 2년물 금리(단기) 기본적으로는 장기라는 기간적 리스크로 장기 채권이 단기 채권에 비해 금리가 높습니다. 하지만 고 인플레이션이라는 경제적 이벤트가 발생하면 연준에서는 물가를 잡기 위해 정책금리를 높게 가져갑니다. 고 금리 정책을 펴면서 시중에 풀려있는 돈을 다시 회수해서 물가를 잡기위한 노력을 합니다. 연준의 고금리 정책으로 단기 금리가 올라가면서 장기 금리를 넘어서는 현상이 발생할 때를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라 말 합니다. FRED.. 2024. 9. 23. 재테크,투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24.09.20) 나는 일주일에 한번 모든 장이끝나고 토요일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정리하고 시장을 확인한다.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확인 후 ETF별 투자 비율을 조절한다. 예를들면 나스닥이 MDD대비 하락율이 크고 S&P500은 MDD대비 하락율이 상대적으로 작다면 나스닥의 매수 비중을 좀 더 올리고 반대 상황이면 S&P500의 매수 비중을 좀 더 올린다.개인적인 생각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란다. [24년 09월 20일기준]MDD는 나스닥 33%, S&P500 28%, 다우23%, 코스피21%, SCHD22%이며, 지난주(24.09.13)대비 다우와 SCHD가 고점을 갱신하면서 MDD 폭이 커진 모습이다. 고점대비 하락율은 S&P500, 나스닥, 다우, SCHD는 미국 시장이 전반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여 계속.. 2024. 9. 21. 미국 S&P500 ETF 운용사별 수수료 비교 - 최신 업데이트일 기준 240830 투자계 전설 워렌 버핏과 존 보글은 투자에 있어 안전한 주식에 장기투자와 함께 비용의 중요성도 많이 강조하였다.아래 그래프와 비용을 수치화한 표를 보면 같은 미국 S&P500을 추종하여도 운용사 별로 비용이 서로 다름을 알 수있다. 같은 상품이면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고 비용이 저렴한 운용사의 상품을 골라 투자하는 것이 더 괜찮은 선택일 것이다. WOORI 미국S&P500이 WON 미국S&P500로 상품 이름이 변경 되었다. KOSEF, PLUS, HANARO는 전체적으로 보수비용이 여전히 높은 편이고, 직전 업데이트 월 기준 비용이 올라가는 현상을 보였던 TIGER는 다시 제자리를 찾았다. TIGER는 비용이 갑자기 상승한 만큼 투자 결정 시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을것 같다. 저렴한 보수비용 TOP.. 2024. 9. 16.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