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공부38

재테크,투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로 확인하는 주식 시장 (24.10.04) 나는 일주일에 한번 모든 장이끝나고 토요일에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정리하고 시장을 확인한다. MDD와 고점대비 하락율을 확인 후 ETF별 투자 비율을 조절한다. 예를들면 나스닥이 MDD대비 하락율이 크고 S&P500은 MDD대비 하락율이 상대적으로 작다면 나스닥의 매수 비중을 좀 더 올리고 반대 상황이면 S&P500의 매수 비중을 좀 더 올린다.개인적인 생각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란다. (오늘은 여행을 다녀오느라 일요일에 업데이트 합니다...)  [24년 09월 20일기준]MDD는 나스닥 33%, S&P500 29%, 다우24%, SCHD22%, 코스피21% 순이며, 지난주(24.09.27)와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마감 됐다. 이번주는 미국 시장 지수들은 모두 소폭 상승마감하였고, 특히 다우는 이번주.. 2024. 10. 6.
재테크,투자) 자기결박법칙을 통해 경제적 자유를 달성하자. -Feat. 연금저축펀드, 개인형 IRP 행동경제학에서 알게 된 자기 결박 법칙이란 미래의 자신을 더 나은 상황과 미래로 이끌기 위해 스스로 행동등의 제약을 두어 현재 하고자 하는 욕심, 욕구등을 제한 해 자신이 설정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행동하는 방법이다. 사람들은 종종 유혹에 넘어가 자신이 설정한 미래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곤 한다. 예를 들면, 경제적 자유를 결심한 사람이 수일 동안은 소비를 억제하고 저축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할 수 있지만, 수일이 지나고나면 소비를 억제하면서 느낀 불편함보다 소비를 함으로 인해서 맛보았던 현재의 편안함에 소비 유혹에 다시금 빠질 수 있다. 미래의 목표인 경제적 자유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자신을 통제할 방법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자기결박법칙의 역할이라 볼 수 있다. 나의 최종 목.. 2024. 10. 5.
(재테크,투자) 무항산무항심 - 물질이 없으면 바른 마음을 가질 수 없다 / feat. 흔들리는 나를위한 1일 1철학 무 항 산 무 항 심 - 먹고 살만한 살림이 없으면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녀야 할 바른 마음마저 사라진다. 제나라 선왕이 바른 정치에 대해 묻자 맹자가 백성들이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지내면 바른 정치는 자연히 열린다며 답했다. 경제적으로 안정되지 않아도 항상 바른 마음을 지닐 수 있는 것은 오직 뜻있는 선비만이 가능합니다. 일반 백성은 경제적 안정이 없으면 항상 바른 마음을 지닐 수 없습니다. 항상 바른 마음을 지닐 수 없다면 방탕하고 편벽되며 부정하고 허황되어 어찌할 수 없게 됩니다. 장발장도 본래는 선량한 사람이지만 가난과 굶주림, 그리고 함께 고통받는 가족을 위하여 빵을 훔쳤다가 징역을 살게 된다. 경제적으로 안정되지 않아서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의,식,주가 갖추어 지지 않는다면 아무리 선량한 .. 2024. 10. 4.
(재테크, 투자) 심리학으로 보는 성공요건 - 충동 조절 "지금 초콜릿 한 조각을 받을래, 아니면 내일 아침까지기다렸다가 두 조각 받을래?"- 도서 마음의 법칙 중에서...- 이 초콜릿 질문은 월터 미셸이라는 심리학자가 아이들을 상대로 행한 유명한 실험이라 한다. 몇몇 아이들은 눈 앞의 초콜릿을 보고는 당장 집어 들었고, 또 몇몇의 아이들은 눈앞의 유혹을 뿌리치고 인내해서 두개를 받아냈다. 단지 초콜릿으로 아이들의 반응을 살펴본 실험이었지만 14년 뒤 놀라운 일이 나타났다. 실험자가 당시 실험에 참여한 아이들을 다시 찾았다고 하였는데 초콜릿을 당장 집어든 아이들과 눈앞의 유혹을 뿌리치고 인내해서 두개의초콜릿을 받아낸 아이들의 결과가 명확했다고 한다. 눈앞의 유혹을 뿌리치고 인내해서 두개의 초콜릿을 받아낸 아이들은 우수한 학업 성적으로 대학에 진학 했으며, 스트.. 2024. 10. 3.
(재테크,투자) 시장 평균 수익률 - 시장은 매년 시장 평균수익률을 따르는가? 주식시장이 매해 평균 수익률을 올릴거라 생각하면 안된다. 주식시장에는 강세장도 있고 약세장도 있으며, 그 강세장에도 기간(일,월,연)을 따졌을때 하락이 있을 수 있다. 약세장도 마찬가지로 기간(일,월,연)을 따졌을때 상승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나고 나면 강세장이 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 당시에는 상승과 하락을 오고가는 주식시장의 변동성 때문에 강세장인지 약세장인지 파악이 어렵고, 투자자는 일시적인 하락에 지레 겁을먹고 자신이 가진 주식을 팔고 시장을 떠나버린다. 일시적인 변동성에 시장을 떠나버린 투자자는 시간이 지나고나서야 강세장이었던 것을 확인하고 자신이 시장을 떠나버려 놓치게된 수익에 대해 후회를한다. 주식시장은 큰 변동성을 가지며 실제로 평균 수준의 수익률을 가지는 해는 드물다. 평균수.. 2024. 10. 2.
재테크,투자) 한국형 SCHD - 미국배당 다우존스 9월 분배금 한국형 SCHD인 운용사 SOL,TIGER,ACE,KODEX의 미국배당다우존스  9월 분배금이 발표 되었다. SCHD는 분기 배당이 이뤄지고 있는데, 한국형 미국배당다우존스를 운용하는 운용사들은 모두 월배당을 실시하고 있어 월 현금흐름을 파악하기에 더 좋다고 생각된다. 9월 분배금은 SOL(30원), TIGER(34원), ACE(56원), KODEX(30원)으로 발표되었고, 분배율은 조금씩은 차이가 있지만 미국 직투인 SCHD나 SOL, TIGER, ACE, KODEX의 미국배당 다우존스나 모두 같은 Dow Jones US Dividend100을 추종하기에 비슷할 것이라 예상된다. 현재 나는 SOL과 TIGER 미국배당 다우존스를 절세계좌에서 모으고 있는 중인데 TIGER는 23년7월부터 분배금 이력이 .. 2024. 10. 1.
반응형